분류 전체보기84 CH3 소프트웨어 프로젝트 관리 📘 CH3. 소프트웨어 프로젝트 관리1. 프로젝트란?정의: 고유한 제품/서비스를 만들기 위해 일시적으로 수행되는 활동→ 반복적인 “일상 업무”와 구분됨 (PMBOK, 2000)2. 프로젝트의 성공과 실패✅ 성공하는 프로젝트의 조건실현 가능한 구체적 계획명확한 기술 명세체계적인 의사소통예산/일정의 정밀한 제어빠른 의사결정과 효과적인 팀워크❌ 실패하는 프로젝트의 요인필요한 지식 부족 또는 수행 의지 부족요구사항 미정의, 프로세스 부재개발자 처우 열악, 일정 강행 등3. 소프트웨어 프로젝트 진행 흐름[고객]1. 요구사항 정의 → 제안요청서(RFP) 발송[개발사]2. 제안서 제출 → 심사/계약 체결 → 개발 수행3. 마일스톤 회의 → 변경 협의4. 인수 테스트 → 최종 제품 인도제안요청서 항목 예시: 프로젝트.. 2025. 4. 26. CH2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 CH2. 소프트웨어 프로세스1. 소프트웨어 프로세스란?정의: 주어진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정해진 일련의 절차목적:품질 높은 소프트웨어를 예산과 일정 내에 개발개발 실패율을 낮추기 위한 체계적 접근 필요활동 흐름:→ 명세 → 설계 및 구현 → 검증 → 진화(유지보수)2. 소프트웨어 개발 모델📌 [1] 주먹구구식 모델 (Build-Fix Model)특징: 요구사항, 설계 없이 바로 개발 시작 후 반복 수정적용: 소규모, 간단한 프로그램에 적합단점: 계획 부재, 문서 부족, 유지보수 어려움📌 [2] 폭포수 모델 (Waterfall Model)특징: 가장 전통적인 순차적 개발 모델단계:요구사항 분석설계구현테스트유지보수장점: 체계적 문서화, 명확한 진행 관리단점: 후기 단계에서 피드백이 늦음, 유연성 부.. 2025. 4. 26. [일반물리실험(1)] 9주차 관성모멘트 측정 [1] 실험값(1) 실험 1 – [2] 회전 장치의 기본 틀(회전축+3단 도르래+알루미늄 트랙)의 관성모멘트 측정 -3단 도르래의 반지름 r -상단 도르래: r = 0.85cm -중단 도르래: r = 1.25cm -하단 도르래: r = 2.975cm-추걸이와 추를 합한 질량 m=55g-3단 도르래 중 실을 감은 도르래의 반지름 r=1.25cm (2) 실험 2–[3] 질점으로 간주할 수 있는 사각추의 관성모멘트 측정 -사각추의 질량 M = 278.55g 1 사각추의 회전 반지름 R=0cm -𝐼(이론사각추) = 𝑀𝑅^2 = 0𝑔 ∙ 𝑐𝑚^2 -추걸이와 추를 합한 질량 m=55g -3단 도르래 중 실을 감은 도르래의 반지름 r=1.25cm-각가속도 α측정값2 사각추의 회전 .. 2025. 4. 25. CH1 소프트웨어공학 개요 📘 CH 1. 소프트웨어 공학 개요1. 현실 속의 소프트웨어소프트웨어는 일상 곳곳에 존재함 (예: 의료기기, 항공기, 교통, 스마트폰 등)미션 크리티컬 시스템: 생명, 자산에 직접적 영향을 미침사고 사례:Therac-25 방사선 사고Intel CPU 오류 (1994)덴버 공항 수하물 시스템 실패 (1995)타이탄 로켓 발사 실패 (1996)FBI VCF 프로젝트 실패 (2005)2. 소프트웨어의 특징비가시성 (Invisibility): 눈에 보이지 않음비마모성: 하드웨어처럼 닳지 않음지속적 수정과 진화: 요구사항과 환경의 변화에 민감📌 SW vs. HW 차이점항목 소프트웨어 하드웨어물리적 마모없음있음복제 비용거의 없음있음가시성낮음높음3. 소프트웨어 공학소프트웨어 위기:수요 증가 vs 공급 부족1968.. 2025. 4. 25. [일반물리실험(1)] 8주차 회전 평형(토크의 이해) [1] 실험값(1) 용수철저울의 용수철상수(𝑘) 측정-추걸이의 질량: 5.54 g 용수철 상수의 평균값: 24.6727N/m (2) 작용하는 힘의 크기 F만을 변화시켜가며 토크의 크기를 측정-연결고리의 질량, m=4.72 g -회전축으로부터 용수철저울과 연결되는 왼쪽 연결고리까지의 거리, 𝑟_s =15.1 cm -회전축으로부터 추걸이와 연결되는 오른쪽 연결고리까지의 거리, 𝑟_M =14.4 cm (3) 회전축으로부터 힘의 작용점까지의 거리 𝑟 만을 변화시켜가며 토크의 크기를 측정 𝑀-(추걸이+질량추)의 질량, M = 155.47 g(4) 회전축으로부터 힘의 작용점까지 위치벡터 r_M 과 작용한 힘 𝐹가 이루는 각 𝜃만을 변화시켜가며 토크의 크기를 측정[2] 결과 분석 본 실험은 역학 종합 실.. 2025. 3. 23. [일반물리실험(1)] 7주차 탄환의 속도 측정 [1] 실험값(1) 탄동진자를 이용한 탄환의 속도측정o 탄환의 질량,m=go 탄동진자의 질량,M=go 회전축으로부터 (탄환을 넣은) 탄동진자의 질량중심까지의 거리, I = cm(2) 수평도달거리를 이용한 탄환의 속도 측정 o 탄환의 낙하높이, 𝐻 = 87.0𝑐𝑚[2] 결과 분석※ 탄환의 발사속도의 실험값을 이론값과 비교오차율은 1단일때가 2단일때보다 크게 측정되었다. 𝜃와, 𝑥_D의 평균과 표준편차는 다음과 같다. (2) 수평도달거리를 이용한 탄환의 속도 측정 왼쪽부터 탄환의 발사강도 1단, 2단표준편차가 모두 평균값의 1.5%이하 수준으로 실험되었다. 정밀하게 측정해서 신 뢰도가 높다고 할 수 있다. (그래프를 보더라도 시행마다 편차가 크지 않다는 것 을 확인 할 수 있다.) 1단에서 실험 .. 2025. 3. 22. 이전 1 2 3 4 5 6 ··· 14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