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말점4 [화학및 실험2] 6주차 결과보고서, 비타 500에 들어있는 비타민 C 정량 분석 1. 실험 목적 DPIP (2,6-dichlorophenolindophenol) 적정 방법을 이용하여 비타 500에 함유되어 있는 비타민 C를 정량 분석한다. 2. 실험 이론※ 이론으로 조사해야 할 것들 [1] 산화 - 환원 반응 [2] 적정 (titration), 종말점, 당량점1) 적정 2) 종말점3) 당량점 [3] Dye solution 적정 이외에 비타민 C를 정량 하는 방법1) DNP method (2,4-dinitrophenyl hydrazine 비색법)2) 아이오딘 적정법 [4] 비타민 C의 화학적 특징 [5] DPIP를 이용한 비타민 C 정량분석 [6] 비타민 C를 옥살산에 녹이는 이유 (2-6주차 예비보고서에서 작성)https://devlawyer.tistory.com/63?catego.. 2024. 7. 14. [화학및 실험2] 6주차 예비보고서, 비타 500에 들어있는 비타민 C 정량 분석 [실험 제목] 비타 500에 들어있는 비타민 C 정량 분석 [실험 목적] DPIP(2,6-dichlorophenolindophenol) 적정 방법을 이용하여 비타 500에 함유되어 있는 비타민 C를 정량 분석한다. [실험 이론] 다음 실험 이론을 조사하시오. 1. 산화- 환원 반응에 대해 설명하시오. 산화·환원 반응(Redox, reduction-oxidation)은 원자의 산화수가 달라지는 화학 반응이다. 산화·환원 반응은 화학종 사이의 실제 또는 형식적인 전자 이동을 특징으로 하며, 가장 흔히 한 종(환원제)은 산화(전자 손실)를 겪고 다른 종(산화제)은 환원(전자 획득)을 겪는다. 전자가 제거된 화학종은 산화된 화학종이라고 하고 전자가 추가된 화학종은 환원된 화학종이라고 한다. 다시 말해서: 산화(.. 2024. 3. 18. [화학및 실험2] 5주차 결과보고서, 식초와 아스피린의 정량분석 1. 실험 목적 몰 농도 (M), 산·염기의 개념을 이해하고, 식초의 아세트산 (CH3COOH)과 아스피린의 아세틸살리실산 (C6H4(OCOCH3)COOH)을 정량 분석한다. 산·염기 적정을 통해 식초 중 아세트산의 함량과 두통약 아스피린 중 아세틸살리실산의 함량을 실험적으로 알아본다. 2. 실험 이론 산과 염기의 개념 1) Arrehenius의 정의 2) Brønsted-Lowry의 정의 3) Lewis의 정의 산과 염기의 적정 산-염기 적정에 사용되는 지시약 당량, 당량점, 종말점 (2-5주차 예비보고서에서 작성) https://devlawyer.tistory.com/61 [화학및 실험2] 5주차 예비보고서, 식초와 아스피린의 정량분석 [실험 제목] 식초와 아스피린의 정량분석 [실험 목적] - 몰농도.. 2024. 3. 16. [화학및 실험2] 5주차 예비보고서, 식초와 아스피린의 정량분석 [실험 제목] 식초와 아스피린의 정량분석 [실험 목적] - 몰농도(M), 산, 염기의 개념을 이해하고, 식초의 아세트산과 아스피린의 아세틸살리실산을 정량 분석한다. - 산, 염기 적정을 통해 식초 중 아세트산의 함량과 두통약 아스피린 중 아세틸살리실산의 함량을 실험적으로 알아본다. [실험 이론] 다음 실험 이론을 조사하시오. 1. 산과 염기의 개념(Arrehenius, Brønsted-Lowry, Lewis의 정의)에 대해 설명하시오. 1-1. Arrhenius산과 염기 1830년까지 '모든 산이 수소를 포함하지만, 수소를 포함하는 모든 물질이 산은 아니다.' 라는 것이잘 알려져 있었다. 1880년대에 스웨덴의 화학자 SvanteArthenius(1859~1927)는 산을 수용액에서 H이온을 생성하는 물.. 2024. 1. 18.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