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핸더슨 하셀바흐2

[화학및 실험2] 7주차 결과보고서, 식초와 아스피린의 정량분석 1. 실험 목적  완충 용액의 pH 변화를 통해 완충작용과 완충용량에 대해서 알아본다.2. 실험 이론 완충용액 (Buffer solution)>완충용액은 약한 산과 그 짝 염기로 구성되어 있으며 pH가 거의 변하지 않는 용액을 말한다. 약산과 그 염의 혼합용액 또는 약염기와 그 염의 혼합 용액은 약산과 약염기의 해리특성에 의하여 그 pH가 변화하지 않는다. 적당한 산이나 염기를 그들의 염과 반응하면 적당한 pH를 나타내는 완충용액을 조제할 수 있는데 이는 생물 완충 등 다양한 방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예를 들면, 혈장은 pH의 변화가 0.2 이내로 유지하는 거의 완벽하고 이상적인 완충용액이다. 즉 혈장의 pH는 7.2~7.3으로 유지되고 있는데 이 pH에서 멀어지면 생명이 유지되지 못한다. 또한 일정한 .. 2025. 3. 13.
[화학및 실험2] 7주차 결과보고서, 완충용액의 효과와 용량 확인 [실험 제목]완충용액의 효과와 용량 확인 [실험 목적]완충 용액의 pH 변화를 통해 완충작용과 완충용량에 대해서 알아본다. [실험 이론]다음 실험 이론을 조사하시오.1. 완충 용량에 대해 설명하시오.완충 용량은 뚜렷한 pH 변화 없이 완충 용액이 수용할 수 있는 산이나 염기의 양을 일컫는다.증류수에 소량의 강한 산이나 강한 염기를 넣으면 pH는 크게 변한다. 예를 들면 1L의 증류수에 염산 0.01몰(진한 염산 약 1mL 정도)을 넣으면 pH는 7에서 2로 크게 변한다. 수산화나트륨의 경우에도 증류수 1L에 이 물질을 0.01몰(0.4g)만 넣어도 pH가 7에서 12로 크게 변한다. 이러한 산성 용액이나 염기성 용액과는 달리 소량의 강한 산이나 강한 염기를 넣더라도 pH의 변화가 거의 없는 용액이 있는데.. 2025. 3. 1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