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화및실25

[화학및 실험2] 8주차 결과보고서, 일감호 수질 검사 : 화학적 산소 요구량 (COD) 측정 1. 실험 목적 과망간산칼륨을 이용한 COD를 측정하여 일감호의 오염도를 알아본다.2. 실험 이론 COD(Chemical Oxygen Demand)COD(chemical oxygen demand)의 분석은 가정하수와 산업폐수의 오염도를 측정할 때 이용된다. 화학적으로 산화 가능한 오염물질을 산화시키기 위해 필요한 산소의 양을 mg/L나 ppm으로 나타낸다.산성 조건에서 과망간산칼륨(KMnO4)의 산화환원 반응 :(1 M KMnO4 → 5 N KMnO4)과망간산칼륨(KMnO4)과 옥살산나트륨(Na2C2O4)의 산화환원 반응 :COD 계산식a : 바탕시험에 소비된 0.025N KMnO4 용액의 소비량(mL)b : 적정에 소비된 0.025N KMNO4 소비량(mL)V : 시료(일감호물)의 부피(mL)0.025.. 2025. 3. 16.
[화학및 실험2] 6주차 결과보고서, 비타 500에 들어있는 비타민 C 정량 분석 1. 실험 목적 DPIP (2,6-dichlorophenolindophenol) 적정 방법을 이용하여 비타 500에 함유되어 있는 비타민 C를 정량 분석한다. 2. 실험 이론※ 이론으로 조사해야 할 것들 [1] 산화 - 환원 반응 [2] 적정 (titration), 종말점, 당량점1) 적정 2) 종말점3) 당량점 [3] Dye solution 적정 이외에 비타민 C를 정량 하는 방법1) DNP method (2,4-dinitrophenyl hydrazine 비색법)2) 아이오딘 적정법 [4] 비타민 C의 화학적 특징 [5] DPIP를 이용한 비타민 C 정량분석  [6] 비타민 C를 옥살산에 녹이는 이유 (2-6주차 예비보고서에서 작성)https://devlawyer.tistory.com/63?catego.. 2024. 7. 14.
[화학및 실험2] 4주차 결과보고서, 평형상수의 결정와 Le Chatelier 원리 확인 1. 실험 목적 : 반응용액의 흡광도를 측정하여 반응물과 생성물의 평형농도, 평형상수를 결정한다. 또한 이 반응에서 Le Chatelier 원리를 확인한다. 2. 실험 이론 1) 화학평형과 평형상수의 개념 2) Le chatelier의 원리 3) Lambert-Beer의 법칙 4) 착이온 (2-4주차 예비보고서에서 작성) https://devlawyer.tistory.com/59 [화학및 실험2] 4주차 예비보고서, 평형상수의 결정와 Le Chatelier 원리 확인 [실험 목적] 반응용액의 흡광도를 측정하여 반응물과 생성물의 평형농도, 평형상수를 결정한다. 또한 이 반응에서 Le Chatelier 원리를 확인한다. [실험 이론] 다음 실험 이론을 조사하시오. 1. 화학 devlawyer.tistory... 2024. 1. 16.
[화학및 실험2] 4주차 예비보고서, 평형상수의 결정와 Le Chatelier 원리 확인 [실험 목적] 반응용액의 흡광도를 측정하여 반응물과 생성물의 평형농도, 평형상수를 결정한다. 또한 이 반응에서 Le Chatelier 원리를 확인한다. [실험 이론] 다음 실험 이론을 조사하시오. 1. 화학 평형과 평형상수의 개념에 대해 설명하시오. 1-1. 화학평형 평형은 균형 상태를 말한다. 같은 힘으로 줄의 두 끝을 당겼을 때 줄이 움직이지 않는 줄다리기는 정적(static) 평형의 한 예이다. 또한 평형은 전체적으로는 변화가 없지만, 정반응 과정과 역반응 과정이 같은 속도로 일어나는 것과 같이 동적(dynamic)일 수도 있다. 앞의 몇 장에서 증기압, 포화용액형성 및 Henry법칙을 포함하여 물질의 물리적 변화와 관련된 동적 평형의 여러 사례를 이미 만나 보았다. 한 예로 증기압을 생각해 보자... 2024. 1. 16.
[화학및 실험2] 3주차 예비보고서, 화학 반응 속도(시계반응) [실험 제목] 화학 반응 속도 (시계반응) [실험 목적] 반응 물질의 농도를 달리하여 시계반응으로 속도를 측정하고, 반응속도 상수와 반응 차수를 구한다. [실험 이론] 다음 실험 이론을 조사하시오. 1. 반응 속도에 대해 설명하시오. 화학 반응이 일어나는 속도를 반응속도(reaction rate)라고 한다. 반응속도를 조절하는 메커니즘은 온도를 조절하는 것이다. 반응속도는 온도가 낮을 때 느려지고 온도가 높을 때 진다. 음식물의 대사, 필수영양소의 수송등 인체내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생리 현상을 관장하는 화학 반응은 반드시 적절한 속도로 진행되어야 한다. 그렇기되기 위해서는 체내의 온도가 체외의 온도와 상관없이 유지되는 것이 필수적이다. 어떤 일의 속도(speed)란 주어진 시간(time)간격내에서 일어나.. 2023. 12.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