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70)
[일반물리실험(1)] 4주차 힘의합성과 분해 [1] 실험값    [2] 결과 분석두힘𝐴와 𝐵의 사이각을 일정하게 유지한채 두 힘의 크기를 똑같이 변화시켜가며 실험하였다. C오차율은 표준편차 0.135%, 평균 -0.0617%, 각오차율은 표준편차 0.189%, 평균 0.0774%로 신뢰도와 타당성 모두 높다고 할 수 있다. 1~6회까지 두힘𝐴와 𝐵을 모두 증가시키며 실험하였지만, 두힘𝐴와 𝐵의 사이각이 일정하고 크기 또한 똑같이 변화시키며 실험하였기에, 𝑅 의 각은 변화시키지 않고 추의 무게만 변화시켰다. 그 결과 각 오차율은 횟수가 늘어날수록 작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C오차율은 이렇다할만한 경향성을 보이지 않았다.두 힘 𝐴와 𝐵의 사이각은 일정하게 유지한 채 한 힘(𝐵)의 크기만 증가시키며 실험하였다. C오차율은 표준편차 0.4..
[일반물리실험(1)] 3주차 글라이더의 가속도 측정 [1] 실험값 [2] 결과 분석가속도는 𝑀 / 𝑀+𝑚 𝑔의 식을 가진다. 따라서 𝑚(글라이더의 질량)이 일정할 때 𝑀(추+추걸이)이 증가 하면 가속도는 증가하고, 𝑀이 일정할 때 𝑚이 증가하면 가속도는 감소한다.  글라이더의 질량을 고정시킨 첫 번째 실험에서는 평균 가속도 66.9𝑐𝑚⁄𝑠2, 이론과의 오차율이 12.83%가 나왔다. 두 번째 실험에서는 평균 가속도 144.0𝑐𝑚⁄𝑠2, 이론과의 오차율이 9.31%가 나 왔다. 세 번째 실험에서는 평균가속도 206.4𝑐𝑚⁄𝑠2 오차율 9.17%가 나왔다. 추(추걸이)의 질량을 고정시킨 첫 번째 실험에서는 평균 가속도 129.9𝑐𝑚⁄𝑠2, 이론과의 오차율이 6.57% 나왔다. 두 번째 실험에서는 평균 가속도 118.3𝑐?..
[화학및 실험2] 7주차 결과보고서, 완충용액의 효과와 용량 확인 [실험 제목]완충용액의 효과와 용량 확인 [실험 목적]완충 용액의 pH 변화를 통해 완충작용과 완충용량에 대해서 알아본다. [실험 이론]다음 실험 이론을 조사하시오.1. 완충 용량에 대해 설명하시오.완충 용량은 뚜렷한 pH 변화 없이 완충 용액이 수용할 수 있는 산이나 염기의 양을 일컫는다.증류수에 소량의 강한 산이나 강한 염기를 넣으면 pH는 크게 변한다. 예를 들면 1L의 증류수에 염산 0.01몰(진한 염산 약 1mL 정도)을 넣으면 pH는 7에서 2로 크게 변한다. 수산화나트륨의 경우에도 증류수 1L에 이 물질을 0.01몰(0.4g)만 넣어도 pH가 7에서 12로 크게 변한다. 이러한 산성 용액이나 염기성 용액과는 달리 소량의 강한 산이나 강한 염기를 넣더라도 pH의 변화가 거의 없는 용액이 있는데..
[일반물리실험(1)] 2주차 선팽창계수 측정 [1] 실험값 [2] 결과 분석 첫번째 알루미늄 실험에서는 측정한 알루미늄의 선팽창계수의 평균은 2.535°C, 오차율 -5.646%가 나왔고 두번째 구리 실험에서는 측정한 구리의 선팽창계수의 평균은 1.717/°C, 오차율 -7.3121% 세번째 철 실험에서는 측정한 철의 선팽창계수의 평균은 1.233*/°C, 오차율 -2.762%가 나왔다.모두 초기 시료의 막대의 길이가 701mm로 동일하게 측정하였고 모든 실험의 온도변화가 차이가 크게 없다고 가정하면 알루미늄, 구리, 철 순으로 다이얼 게이지 눈금이 작게 변화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고로 알루미늄, 구리, 철 순으로 측정된 ** 값이 점점 작아짐을 확인 할 수 있다.모든 실험에서 시료를 가열할 때의 오차율 보다 시료를 식히면서 계산한 오차율이 더..
[일반물리실험(1)] 1주차 액체의 밀도 측정 실험 [1] 실험값[2] 결과 분석 첫번째 에탄올 실험에서는 평균 밀도 0.7830𝑔/𝑐𝑚^3, 표준편차 0.005𝑔/𝑐𝑚^3오차율 1.074%가 나왔 고, 두번째 에탄올 실험에서는 평균밀도 0.7851𝑔/𝑐𝑚^3, 표준편차 0.002𝑔/𝑐𝑚^3 오차율 0.809%가 나 왔다. 전체적인 실험 데이터를 보면 2번째 에탄올 실험에서 액체 기둥의 높이 변화 값이 대체로 크고, 오차율과 표준편차가 전체적으로 더 작은 것을 알 수 있다. 소주에 대한 실험에서는, 3회까지의 측정에서 표준편차가 0.001𝑔/𝑐𝑚^3이지만, 4회까지의 측정에선 표준편차가 0.003𝑔/𝑐𝑚^3으로 이전까지의 측정에 비해 다소 증가하였다. 평균밀도는0.96976𝑔/𝑐𝑚^3 으로, 교재에 주어진 이론표에 의..
[화학및 실험2] 6주차 결과보고서, 비타 500에 들어있는 비타민 C 정량 분석 1. 실험 목적 DPIP (2,6-dichlorophenolindophenol) 적정 방법을 이용하여 비타 500에 함유되어 있는 비타민 C를 정량 분석한다. 2. 실험 이론※ 이론으로 조사해야 할 것들 [1] 산화 - 환원 반응 [2] 적정 (titration), 종말점, 당량점1) 적정 2) 종말점3) 당량점 [3] Dye solution 적정 이외에 비타민 C를 정량 하는 방법1) DNP method (2,4-dinitrophenyl hydrazine 비색법)2) 아이오딘 적정법 [4] 비타민 C의 화학적 특징 [5] DPIP를 이용한 비타민 C 정량분석  [6] 비타민 C를 옥살산에 녹이는 이유 (2-6주차 예비보고서에서 작성)https://devlawyer.tistory.com/63?catego..
[화학및 실험2] 6주차 예비보고서, 비타 500에 들어있는 비타민 C 정량 분석 [실험 제목] 비타 500에 들어있는 비타민 C 정량 분석 [실험 목적] DPIP(2,6-dichlorophenolindophenol) 적정 방법을 이용하여 비타 500에 함유되어 있는 비타민 C를 정량 분석한다. [실험 이론] 다음 실험 이론을 조사하시오. 1. 산화- 환원 반응에 대해 설명하시오. 산화·환원 반응(Redox, reduction-oxidation)은 원자의 산화수가 달라지는 화학 반응이다. 산화·환원 반응은 화학종 사이의 실제 또는 형식적인 전자 이동을 특징으로 하며, 가장 흔히 한 종(환원제)은 산화(전자 손실)를 겪고 다른 종(산화제)은 환원(전자 획득)을 겪는다. 전자가 제거된 화학종은 산화된 화학종이라고 하고 전자가 추가된 화학종은 환원된 화학종이라고 한다. 다시 말해서: 산화(..
[화학및 실험2] 5주차 결과보고서, 식초와 아스피린의 정량분석 1. 실험 목적 몰 농도 (M), 산·염기의 개념을 이해하고, 식초의 아세트산 (CH3COOH)과 아스피린의 아세틸살리실산 (C6H4(OCOCH3)COOH)을 정량 분석한다. 산·염기 적정을 통해 식초 중 아세트산의 함량과 두통약 아스피린 중 아세틸살리실산의 함량을 실험적으로 알아본다. 2. 실험 이론 산과 염기의 개념 1) Arrehenius의 정의 2) Brønsted-Lowry의 정의 3) Lewis의 정의 산과 염기의 적정 산-염기 적정에 사용되는 지시약 당량, 당량점, 종말점 (2-5주차 예비보고서에서 작성) https://devlawyer.tistory.com/61 [화학및 실험2] 5주차 예비보고서, 식초와 아스피린의 정량분석 [실험 제목] 식초와 아스피린의 정량분석 [실험 목적] - 몰농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