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70)
[화학및 실험2] 1주차 예비보고서, 기체의 확산 법칙 드디어??... 2학기 개강이네요!! 결국 화및실2를 수강신청하게되었네요ㅎ [실험 제목] 기체의 확산 법칙 확인 [실험 목적] 다양한 방법으로 분자량이 다른 기체들의 확산속도를 측정하여 확산의 개념을 이해하고 Graham의 법칙을 확인한다. [실험 이론] 다음 실험 이론을 조사하시오. 1. 기체분자운동론에 대해 설명하시오 이상기체식은 기체들이 어떻게 거동하는가에 대하여 설명할 수 있지만, 기체들이 왜 그렇게 거동하는가에 관해서는 설명할 수 없다. 기체를 일정압력하에서 가열할 때. 팽창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또는 기체를 일정온도에서 압축할 때 기체 압력이 증가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기체의 물리적 성질을 이해하려면, 압력이나 온도와 같은 실험조건이 변화할 때 기체입자에게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를 설명할 수있는..
삼투압의 계산해보자 (예제 13.9) p.613 예제 13.9 삼투압의 계산 ▶ Q. 문제 25°C에서 혈액의 평균삼투압은 780KPa이다. 혈액과 등장액을 이루는 글루코스(C6H12O6)용액의 몰농도는 얼마인가? ▶ 개념 삼투현상 용매의 알짜 이동은 항상 용매 농도가 낮은(용질 농도가 높은)용액 쪽으로 일어나서 용액이 같은 농도를 가지게 된다. 이때 용매의 이동을 삼투현상이라고 한다 (배추를 소금물에 절여서 야채조직 속의 수분을 뺀다. 그리고 간을 하면 효과적이다!) 삼투압 삼투현상을 멈추게 하기 위해 요구되는 압력 수평이 되면 삼투현상이 멈춘다. 이때 누른 압력을 계산하면 삼투압이 나온다. 근데 여태까지 직접적으로 개념을 써서 삼투압을 계산한 적은 없다. 그냥 문제를 읽고 밑에 공식에 바로 대입하자.ㅎㅎ ∏ = i MRT i 는 반트호프..
면심 입방 금속의 쌓임효율을 계산해보자 (예제 12.1) p.613 예제 12.1 쌓임 효율의 계산 ▶ Q. 문제 공쌓기를 할 때. 공과 공사이에 빈 공간없이 공을 쌓는 것은 불가능하다. 쌓임효율(packingefficiency)이란 결정내 원자들이 실제로 차지하는 공간의 비율이다. 면심입방금속에 대하여 쌓임효율을 계산하시오. ▶ 개념 쌓임 효율 쌓임 효율 = 원자들의 부피 / 단위세포의 부피 면심 입방 구조 '면심'입방구조 면에 구의 중심이 포함되어있다고 외우면 외우기 편한것 같다ㅎ 면심 입방구조는 단위세포당 입자수가 1/8 x 8 + 1/2 x 6 = 4 이다. ▶ A. 풀이 원자들의 부피 = 배위수가 4이므로 구가 4개 있다고 계산하면됨 = 4 x (4/3) π r^3 단위세포의 부피 위에그림처럼 정육면체로 한변의 길이가 2√2 r인 정육면체로 계산하면된..
끓는점 오름과 어는점 내림을 알아보자 (예제 13.8) p.613 예제 13.8 끓는점 오름과 어는점 내림의 계산 ▶ Q. 문제 자동차 부동액은 비휘발성 비전해질인 에틸렌 글라이콜(CH2(OH)CH2(OH))을 포함한 물이다. 물에 질량으로 25.0%의 에틸렌글라이콜을 포함하는 용액의 끓는점과 어는점을 계산하시오 ▶ 개념 끓는점 오름과 어는점 내림 ∆Tb(끓는점 오름) = i Kb m = Tb(solution) - Tb(solvent) ∆Tf(끓는점 오름) = -i Kf m = Tf(solution2) - Tf(solvent) 1. 증기압력 내림 다음으로 배우는 두번째 총괄성이다. 2. i는 반트호프 상수로 용질의 개수에 비례한다. 좀더 설명하자면 물에 녹일때 C6H12O6(설탕)을 녹이면 i =1 NaCl 을 녹이면 Na+ Cl-로 이온화 되므로 i = 2..
증기압력내림 by 라울의 법칙 (예제 13.7) p.613 예제 13.7 용액의 증기 압력 계산 ▶ Q. 문제 글리세린(C3H8O3)은 25°C에서 밀도가 1.26g/mL인 비휘발성 비전해질이다. 25C에서 물 500.0mL에 글리세린 50.0mL를 가하여 만든 용액의 증기압력을 계산하시오 (단, 25°C에서 순수한 물의 증기압력은 3.17KPa(부록 B)이고, 순수한 물의 밀도는 1.00g/mL이다) ▶ 개념 라울의 법칙 (Raoult's law) (P용액) = (X용매) x (P°용매) (solution은 용액, solvent는 용매) P° 는 순수한용액의압력이다. Henry의 법칙때는 순수한 용매의 증기압력을 구했었다. 기억이 안나면 다시한번 찾아보도록하자 https://devlawyer.tistory.com/42 Henry 법칙, 압력과 기체의..
몰농도를 용액의 밀도를 활용해서 구해보자 (예제 13.6) p.609 예제 13.6 용액의 밀도를 사용한 몰농도의 계산 ▶ Q. 문제 톨루엔(C7H18)5.0g과 벤젠 225g을 포함하는 용액의 밀도가 0.876g/mL이다. 용액의 몰농도(M)를 구하시오 ▶ A.풀이 몰농도 몰농도(M) = 용질의 몰수 / 용액의 리터수 1. 농도에서 가장 직관적인 접근이다 (흔히 농도가 짙다고 하면 몰농도가 큰 것이라고 생각해도 된다.) 2. 용액 리터당 용질의 몰수라 부피의 영향을 받는다. C7H8의 몰수 = (5.0g) / (92g/mol) = 0.054mol 벤젠 용액의 부피(mL) = (230g) / (1mL / 0.876g) → 밀도의 역수를 곱함 = 263mL =0.263L 그러므로 몰농도는 = 0.054mol / 0.263L → 용액 리터당 용질의 몰수 = 0.21M
몰분율의 정의 (예제 13.5) p.609 예제 13.5 몰분율과 몰랄농도의계산 ▶ Q. 문제 염산수용액은 질량으로 36%의 HCl을 포함한다. 이용액에서 (a)HCI의 몰분율을 계산하시오. (b)HCl의 몰랄농도(m)를 계산하시오. ▶ A. 풀이 몰분율 성분의 물분율 = 성분의 몰수 / 모든 성분의 총 몰수 1. 몰수 기준으로 얻고자 하는 성분이 얼만큼 있는지 알고 싶을때 쓴다 2. 라울의 법칙에서 자주 활용 기체상태에서 많이 활용 (액체상태일때 조심할 것) 3. 단위는 약분되기 때문에 없다. (a) HCl의몰수 = (36g) / (36.5g/mol) = 0.99mol H2O의 몰수 = (64g) / (18g/mol) = 3.6mol X_HCl (HCl의 몰분율) → X는 카이라고 읽음 = 0.99 / (0.99 + 3.6) → 전체..
몰랄농도(m)의 정의 (예제 13.4) p.608 예제 13.4 몰랄 농도의 계산 ▶ Q. 문제 글루코스(C6H12O6) 4.35g을 25°C의 물 25.0mL에 녹여 용액을 만들었다. 용액중 글루코스의 몰랄농도(m)를 계산하시오(단, 물의 밀도는 1, 00g/mL이다). ▶ A. 풀이 몰랄농도 몰랄농도 = 용질의 몰수 / 용매의 kg수 •몰농도는 용액의 부피에 의존하고, •몰랄농도는 용매의 질량에 의존한다. 클루코스(C6H12O6) 의 몰수 = 4.35g x ( 1mol / 180.2g ) = 0.0241mol 물의 질량(kg) = 25.0mL x 1.00 g/mL = 25.0g = 0.0250kg 둘을 나눠주면 몰랄 농도가 나온다! m(C6H12O6의 몰랄농도) = 0.0241mol / 0.0250kg = 0.964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