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반물리실험(1)9

[일반물리실험(1)] 3주차 글라이더의 가속도 측정 [1] 실험값 [2] 결과 분석가속도는 𝑀 / 𝑀+𝑚 𝑔의 식을 가진다. 따라서 𝑚(글라이더의 질량)이 일정할 때 𝑀(추+추걸이)이 증가 하면 가속도는 증가하고, 𝑀이 일정할 때 𝑚이 증가하면 가속도는 감소한다.  글라이더의 질량을 고정시킨 첫 번째 실험에서는 평균 가속도 66.9𝑐𝑚⁄𝑠2, 이론과의 오차율이 12.83%가 나왔다. 두 번째 실험에서는 평균 가속도 144.0𝑐𝑚⁄𝑠2, 이론과의 오차율이 9.31%가 나 왔다. 세 번째 실험에서는 평균가속도 206.4𝑐𝑚⁄𝑠2 오차율 9.17%가 나왔다. 추(추걸이)의 질량을 고정시킨 첫 번째 실험에서는 평균 가속도 129.9𝑐𝑚⁄𝑠2, 이론과의 오차율이 6.57% 나왔다. 두 번째 실험에서는 평균 가속도 118.3𝑐?.. 2025. 3. 13.
[일반물리실험(1)] 2주차 선팽창계수 측정 [1] 실험값 [2] 결과 분석 첫번째 알루미늄 실험에서는 측정한 알루미늄의 선팽창계수의 평균은 2.535°C, 오차율 -5.646%가 나왔고 두번째 구리 실험에서는 측정한 구리의 선팽창계수의 평균은 1.717/°C, 오차율 -7.3121% 세번째 철 실험에서는 측정한 철의 선팽창계수의 평균은 1.233*/°C, 오차율 -2.762%가 나왔다.모두 초기 시료의 막대의 길이가 701mm로 동일하게 측정하였고 모든 실험의 온도변화가 차이가 크게 없다고 가정하면 알루미늄, 구리, 철 순으로 다이얼 게이지 눈금이 작게 변화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고로 알루미늄, 구리, 철 순으로 측정된 ** 값이 점점 작아짐을 확인 할 수 있다.모든 실험에서 시료를 가열할 때의 오차율 보다 시료를 식히면서 계산한 오차율이 더.. 2025. 3. 10.
[일반물리실험(1)] 1주차 액체의 밀도 측정 실험 [1] 실험값[2] 결과 분석 첫번째 에탄올 실험에서는 평균 밀도 0.7830𝑔/𝑐𝑚^3, 표준편차 0.005𝑔/𝑐𝑚^3오차율 1.074%가 나왔 고, 두번째 에탄올 실험에서는 평균밀도 0.7851𝑔/𝑐𝑚^3, 표준편차 0.002𝑔/𝑐𝑚^3 오차율 0.809%가 나 왔다. 전체적인 실험 데이터를 보면 2번째 에탄올 실험에서 액체 기둥의 높이 변화 값이 대체로 크고, 오차율과 표준편차가 전체적으로 더 작은 것을 알 수 있다. 소주에 대한 실험에서는, 3회까지의 측정에서 표준편차가 0.001𝑔/𝑐𝑚^3이지만, 4회까지의 측정에선 표준편차가 0.003𝑔/𝑐𝑚^3으로 이전까지의 측정에 비해 다소 증가하였다. 평균밀도는0.96976𝑔/𝑐𝑚^3 으로, 교재에 주어진 이론표에 의.. 2025. 3. 1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