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반화학실험/[13장 용액의 성질]

끓는점 오름과 어는점 내림을 알아보자 (예제 13.8)

by 우중충 2023. 10. 18.
반응형

p.613

예제 13.8 끓는점 오름과 어는점 내림의 계산

 Q. 문제

자동차 부동액은 비휘발성 비전해질인 에틸렌 글라이콜(CH2(OH)CH2(OH))을 포함한 물이다. 물에 질량으로 25.0%의 에틸렌글라이콜을 포함하는 용액의 끓는점과 어는점을 계산하시오

개념

끓는점 오름과 어는점 내림

Tb(끓는점 오름) = i Kb m

 = Tb(solution) - Tb(solvent) 

Tf(끓는점 오름) = -i Kf m

 Tf(solution2) Tf(solvent)

왼쪽음 끓는점 오름, 오른쪽은 끓는점 내림

 

1. 증기압력 내림 다음으로 배우는 두번째 총괄성이다.

2. i는 반트호프 상수로 용질의 개수에 비례한다.

좀더 설명하자면 물에 녹일때

C6H12O6(설탕)을 녹이면 i =1

NaCl 을 녹이면 Na+ Cl-로 이온화 되므로 i = 2

CaCl2를 녹이면 Ca2+, Cl-, Cl-로 이온화 되므로 i=3 으로 계산해주면된다.

3. Kf는 몰랄상수로 용매마다 달라지기 때문에 확인해야한다. 

(문제에서 보통주어짐)

4. 몰랄농도(m)에 비례한다 → 몰농도와 상관이 없다. 용액의 부피와 상관이없다!

A. 풀이

1. 에틸렌 글라이콜(CH2(OH)CH2(OH))

→비휘발성 비전해질

→ i (반트호프 상수) = 1

2. 용매 물(H2O)의

Kb = 0.51 °C/m

Kf = 1.86 °C/m

 

3. C2H6O2의 몰랄농도를 구해보자

물이 750g있다고 가정하면  C2H6O2는 250g 있다고 생각 할수있다. 

 

= C2H6O2의몰수  / H2O의 kg수

=( 250g / 62.1g/mol ) / 750g

= 4.02mol / 0.75kg

= 5.37m

 

4.

Tb(끓는점 오름) = i Kb m

= (1)(0.51 °C/m)(5.37 m)

= 2.7°

102.7°C에서 끓기 시작함

 

Tf(끓는점 오름) = -i Kf m

= -(1)(1.86 °C/m)(5.37m)

=- 10.0°C

- 10.0°C에서 얼기 시작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