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반화학실험55

H2O의 온도와 상변화 ΔH(엔탈피)를 계산해보자 (예제 11.3) p.509 예제 11.3 온도와 상변화에 대한 ΔH의 계산 ▶ Q. 문제 1atm의 일정한 압력에서 -25°C의 얼음 1.0mol을 125°C의 수증기로 변환하는 과정의 엔탈피 변화를 계산하시오 (얼음, 액체물, 수증기의 비열은 각각 2.03, 4.18, 1.84J/g K이다. 물의 ΔH용융 = 6.01kl/mol, ΔH증발 = 40.67kJ/mol이다). ▶ 풀기 전에 그래프를 보면 5번 계산해야한다... (상변화할 때 계산하는 것을 잊지말자!) 온도변화는 q = c m Δt 상변화는 주어진 상변화 엔탈피로! ▶ A. 풀이 •선 AB: H2O(s)를 -25°C → 0°C q = c m Δt ΔH = (2.03 J/g K)(1.00 mol)(18.0/g mol)(25K) = 914J = 0.91kJ •선.. 2023. 10. 10.
끓는점 비교 by 분자간의 힘 (예제 11.2) p.502 예제 11.1 분자간 인력의 상대적 세기와 종류 예측 ▶ Q. 문제 물질 BaCl2, H2, CO, HF, Ne를 끓는점이 증가하는 순서로 나열하시오. ▶ A. 풀이 1. BaCl2 는 알칼리 토금속 Ba2+와 할로젠원소인 Cl- 이루어진 이온성 결합물질이다. 2. HF는 수소결합을 한다!! 3. 위에 둘은 확실히 순서가 정해져있으므로 나머지 H2, CO, Ne 을 비교해보면 CO 28g/mol, 극성분자 Ne 20g/mol, 무극성분자 H2 2g/mol 무극성분자 이므로 끓는점 순서를 정해보면 다음과 같다 BaCl2 > HF > CO > Ne > H2 1813K > 293K > 83K > 27K > 20K (실제) 이온결합 > 수소결합 > 극성분자 분산력 ~ 무극성분자 분산력 2023. 10. 9.
'수소결합'에 대해 알아보자 (예제 11.1) p.498 예제 11.1 수소결합을 형성하는 물질 찾기 ▶ Q. 문제 다음 물질중, 물리적 성질을 결정할 때 수소결합이 중요한 역할을 할 것 같은 물질은 어느 것인가? 메테인(CH4), 하이드라진(H2NNH2), 플루오린화 메틸(CH3F), 황화수소(H2S) ▶ A. 풀이 수소결합 조건 수소 결합은 H원자가 한분자에서 N, O, F 원자에 결합되어 있을 때, 다른 분자의 N, O, F 원자 비공유 전자쌍과의 사이에서 일어날 수있다. 1. 메테인(CH4)과 황화수소(H2S) N,O,F가 없으므로 수소결합이 형성되지 않는다. 2. 플루오린화 메틸(CH3F)은 F가 있지만 루이스 구조상 C-F 결합을 갖지 H-F는 갖지 않는다. 3. 하이드라진(H2NNH2) 경우 루이스 구조를 그려보면 다음과 같다. N-F .. 2023. 10. 9.
착물의 배위형성 과정을 알아보자 (예제 23.1) p.1102 예제 23.1 착물의 배위권 규명하기 팔라듐(II)은 배위수가 4인착물을 형성하려는 경향이 있다.어떤 화합물이 PdCl2 •3NH3의 조성을 가지고있다. ▶ Q. 문제 (a) 이 화합물의 배위구조를 가장잘나타내는 화학식을 쓰시오. (b) 이 화합물의수용액에과량의AgNO3(aq)를 처리하는 경우.PdCl2 •3NH3 1mol당 몇 몰의AgCl(s)이 형성되는가? ▶ A. 풀이 (a) 1. PdCl2 •3NH3 에서 Pd2+ 임을 알수있다. 2. Cl-, NH3가 둘다 리간드가 될 수 있지만, 중성리간드인 NH3가 먼저 배위를 다하고 Cl-하나가 붙는 형식이 자연스럽다. 이렇게 따지면 최적의 화학식은 [Pd(NH3)3Cl]Cl 이다. (b) AgCl은 잘 알려진 침전물이라서 위 반응식에서 침전 .. 2023. 10. 7.
[화학및 실험1] 11주차, 실험 기말고사 정리(종강~!) 이 글은 실험 기말고사대비를 위해 작성되었습니다. 극히 개인적, 주관적으로 시험전에 기억해야 할 것들을 적어놓은 것입니다. 1주차. 우리나라 동전의 밀도 측정 1-1. 비중의 단위 -> 그런건 없다~~~ 1-2. 실린더 눈금 읽는법 1-3. 밀도 = 질량 / 부피 (ㅋㅋㅋㅋ설마) 2주차. 탄산염들의 CO2 생성반응을 통한 일정성분비의 법칙 확인 2-1. 실험식 유의하기 (조교님이 알아두라고 말함) Na2CO3 + 2HCl → 2NaCl + H2CO3 → 2NaCl + CO2 + H2O NaHCO3 + HCl → NaCl + H2CO3 → NaCl + CO2 + H2O 3주차. 스테아르산의 단층막을 이용한 아보가드로수의 결정 3-1. 단분자층 그림과 친수성기, 소수성기 구분하기!!! 3-2. 스테아르산이 .. 2023. 6. 25.
[화학및 실험1] 10주차 결과보고서, 기체 상수의 결정 드디어 1학기 마지막 보고서~~~!!!! 한학기동안 수고했다~~!! 실험 기말만 잘보자! 1. 실험 목적 반응에서 발생한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부피와 소모된 시료의 양을 이용하여 기체 상수(R) 값을 결정한다. 2. 실험 이론 기체의 양과 온도, 압력, 부피 사이의 관계는 기체 상태방정식으로 주어진다. 대부분의 기체는 온도가 충분히 높고 압력이 충분히 낮은 상태에서 이상기체 상태방정식을 잘 만족한다. 이 실험에서는 산소 및 이산화탄소 기체의 압력, 부피, 몰수, 온도를 측정하여 기체상수를 결정한다. KClO3를 가열하면 산소기체가 발생하고, KCl 고체가 남는다. 이때 MnO2는 KClO3의 분해반응에 촉매로 작 용하여 산소기체의 발생 속도를 증가시킨다. 이 반응에서 발생한 산소기체의 부피는 기체 발생 장.. 2023. 6. 22.